'사회'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회3

'청소년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신청 방법과 대상은? 여성가족부에서 자녀 양육과 학업 또는 취업을 병행하는 청소년 부모 가정에 자녀 1인당 월 20만 원의 양육비를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신청 대상부터 신청 방법까지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신청 대상: 청소년 부모 가구 신청 대상은 월 소득 251만 6000원(중위소득 60%) 이하인 청소년 부모 가구입니다. 여기서 청소년 부모 가구란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가 모두 만 24세 이하인 경우를 말합니다. 청소년 부모는 혼인 관계(사실혼 포함)를 유지하며 실제로 자녀를 양육하고 있어야 합니다. 사실혼: 법적으로 완전한 부부는 아니지만 ‘사실상 부부 관계’인 경우. 예를 들어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로 동거 중이며 서로를 부부로 인정하고 가족 행사에 함께 참여했다면 이는 ‘사실혼’으로 볼.. 2022. 6. 23.
직원 “출근하기 싫어요”.. 회사 “재택근무는 비효율적” 승자는? 2년 반 정도 지속된 코로나19는 전 세계 직장인들의 근무 패턴을 바꿨습니다. 바로 ‘재택근무’인데요. 사무실에 출근하는 것보다 재택근무에 더 익숙해진 지금, 기업과 직원들 간의 신경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출근하기 싫어요” IT기업 골머리 카카오는 다음 달부터 ‘메타버스 근무제’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음성 소통이 가능하도록 항상 스피커를 켜거나 이어폰을 착용해야 하고, 오후 1시부터 5시까지는 반드시 일해야 합니다. 출퇴근에 자율성을 준 대신, ‘통제 요소’를 가미한 것입니다. 하지만 일부 직원들은 “겉만 그럴듯한 재택근무”라며 반발했는데요. 결국 회사 측은 ‘직원 투표’로 근무형태를 다시 결정하겠다며 물러났습니다. 네이버는 올해 초 4,900억원을 들여 새 사옥을 완공했는데요. ‘주3일 출근’과 .. 2022. 6. 14.
‘희망 없다’ 취업 실패 속 고립을 선택하는 청년들 요즘 1인 가구가 늘면서, 원룸에 쓰레기를 잔뜩 쌓아놓고 이사를 하거나, 그냥 도망을 가버리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어떤 사람들인가 봤더니, '은둔형 외톨이'라고 하죠. 우울과 무기력증에 시달리면서 고립된 생활을 하는 사람들, 특히 그 중에서도 청년들이 많았습니다. 취업 실패 최다.. 희망 없는 청년들 심한 악취가 나는 문을 열자 방 전체가 쓰레기로 가득 차 있습니다. 침대 위만 빼고 방 전체에 음식물과 비닐봉지가 쌓여있어 앞으로 나아갈 수도 없습니다. 화장실도 폐허가 됐습니다. 이 5평 남짓한 방안에는 음식물과 쓰레기가 혼잡하게 뒤섞여 사람 키만큼 높이의 쓰레기가 쌓여 있습니다. 1년 6개월 전부터 한 20대 청년이 월세로 살던 원룸인데, 6개월 동안 월세와 세금과 내지 않더니 열흘 전 종적을 감췄습.. 2022.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