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태그플레이션 완벽정리] 원인과 대처 방법은?
본문 바로가기
경제

[스태그플레이션 완벽정리] 원인과 대처 방법은?

by 뉴큐 2022. 6. 16.
반응형

내 월급 빼고 다 오른다.” 어쩌면 요즘 시기에 가장 딱 맞는 말일지도 모릅니다. 이러한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요. 뉴스에 자주 등장하지만 정확히는 모르는 단어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과 투자 대처방법에 대해 완벽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뭐길래?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침체를 뜻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입니다. 보통 경기가 나빠지면 사람들이 소비를 줄여 물가가 내려가고, 경기가 좋아지면 소비를 적극적으로 해 물가가 오르는데요.

 

스태그플레이션은 이런 기본적인 경제 흐름을 벗어나는 현상입니다. 경기는 침체됐는데 물가는 오르는 것. 경기가 나빠져 주머니 사정은 안 좋은데, 물건 가격은 점점 비싸지고 결국 사람들이 살기 어려워지는 것이죠. 우리는 1970년대에 이미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어봤습니다.

오일쇼크와 스태그플레이션의 후폭풍

1970년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가격 담합으로 석유 가격이 폭등하는 오일쇼크가 발생했습니다. 석유 부족으로 공장은 물건을 원활하게 생산하지 못했는데요. 소득은 주는데,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물가는 폭등했습니다. 오일쇼크는 처음에는 기름 아껴 쓰기로 시작됐지만, 나중에는 중산층의 몰락으로 이어졌습니다.

 

오일쇼크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은 세계 경제사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경제는 케인스주의 경제학이 지배했습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사상에 기초한 케인스주의는 시장경제의 불균형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재정정책)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의 여파로 저성장에 높은 실업률인 상태가 지속되자 국가 주도 경제체제에 대한 비판이 시작됐습니다. 결국 세계 경제는 자유주의 시장 경제로 전환되었습니다.

2022년 스태그플레이션을 경고하는 이유(원인)?

미국의 금리 인상과 중국 봉쇄,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여러 악재가 겹치며 경제 침체에도 물가는 올라가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1. 미국 금리 인상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급격히 오른 물가를 잡기 위해 계속해서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습니다. 지난 15일에는 기준금리를 단번에 0.75%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는데요. 이는 1994년 이후 28년 만에 최대 금리 인상입니다. 결과적으로 미국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자 시장에 돈이 없어지고 전 세계 경기가 얼어붙었습니다.

 

2. 코로나19와 중국 봉쇄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라 불릴 만큼 수출을 많이 하며 글로벌 공급망을 책임지고 있는데요. 상하이 등 중국 일부 도시가 코로나19로 봉쇄되며 전 세계 공급망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3. 전쟁으로 인한 물가상승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 세계 에너지 공급에 차질이 생겼어요. 러시아는 세계 에너지 생산을 책임지고 있는데, 우크라이나 편에 선 서방 나라들과 대립하며 기름값이 뛰었습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전 세계의 밀 생산도 책임지고 있는데요. 전쟁 중이라 밀수출에 차질이 생겼고, 전 세계 곡물 가격도 확 오르게 되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대처 방법은?

불안 요인이 여전히 많은 가운데 증시는 바닥을 찍은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연준의 긴축 기조나 속도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중국의 코로나 봉쇄 영향도 2분기부터 기업 실적에 본격적으로 나타날 텐데요. 주가 자체는 고점에 비해 많이 내려오긴 했지만 저점 매수나 단기 승부를 보기에는 여전히 불안한 상황입니다.

 

결과적으로 현재는 현금 등의 유동성을 늘리고 기술주가 아닌 배당주 같은 안전 자산에 투자하며 기회를 봐야 하는 시기로 판단됩니다.

반응형

댓글